본문 바로가기
IT Life

KT 데이터 쉐어링 유심

by 고니-gonnie 2020. 8. 8.
반응형

데이터 쉐어링?

KT는 한국에 최초로 아이폰을 갖고 들어온 기업이다.  SKT를 이겨보겠다고 그런 것 같은데 생각보다 효과가 좋았다. 그러면서 아이패드도 적극적으로 밀고 하면서 당시 LTE무제한 요금제 같은 걸 쓰는 사람들에게 데이터 쉐어링이라는 걸 해줬다. 지금이야 뭐 조금만 돈을 줘도 월 100GB 바이트 요금제를 쓸 수 있지만 처음 저게 도입되었을 때는 정말 돈 많은 사람들이 쓰던 요금제였다.그래서인가 모 회선에 추가로 두 개의 회선을 공짜로 넣어준다. 번호는 있지만(LTE의 특성인 듯) 데이터 통신만 되는 그런 녀석이다. SKT에도 데이터 함께쓰기 같은 걸로 존재하고 U+도 있는 거 같다.

 

KT 데이터 쉐어링의 특징

유심단독 개통이 안된다. 무슨 말이냐면 무조건 뭐라도 실물 기계를 갖고가야 개통이 된다. SKT는 기기없이 유심만 개통이 가능하다.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역시 무슨 말이냐면 처음에 아이패드 셀룰러 버전을 위해서 탄생한 녀석(내가 알기론 그렇다)이다 보니 그리고 개통할 때 꼭 실물기기를 갖고 오라고 하다보니 해당 기기에 맞는 모델을 지정해서 개통해준다. 이로 인해 모델이 다른 기기 (태블릿으로 개통했으면 태블릿만)에 해당 유심을 꽂으면 통신이 안된다. 유심이동성 제약이 있다. 또한 한번이라도 KT에서 개통했던 이력이 있는 국내정식발매 기기라면 모델 변경이 불가능하다. 해외폰이라던지 패드류 라던지 LTE 라우터 같은 거 들고가면, 그리고 KT 개통이력이 없다면, 거기에 상담원에게 잘 싸바싸바하면 OPMD2 라는 모델로 유심을 뽑아준다. 이 녀석은 유심이동성 제약이 없다. 그래서 그런지 KT에서 개통했던 엑스페리아 XZ1 을 들고 갔는데 해외폰 혹은 자급제폰으로 인지했는지 쉽게 모델변경이 되어서 노트북에도 쓰고 폰에도 쓰고 라우터에도 쓰고 그러고 있다.

 

LTE에그 공기계에는 안된다. KT는 와이브로라는 엄청난 녀석을 갖고 있었지만 결국 LTE보다 돈이 안된다는 이유로 강제로 없애버렸다. 그 당시 와이브로는 전화같은 모습이 아닌 요즘 LTE라우터라고 부르는 녀석들의 모습을 하고 있었고 그런 역활을 했었으며 그때부터 에그라는 브랜드? 네이밍이 생겼다. 그러니 당시 유행하던 인터넷 전화 중에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가 있었다면 번거롭고 덕후스럽지만 휴대전화 처럼 들고 다니면서 쓸 수 있었고 내도 집근처 밖으로 나가서 그렇게 해본 사람 중에 하나였다. 요즘은 인터넷 전화의 경우도 요금제가 정립되고 국제전화 시외전화 같은 거 구분하지만 초창기에는 그런 거 없었다. 그냥 요즘 많이 쓰는 VoIP 같은 개념으로 돌아갔었다. 어째뜬 그런 와이브로를 없애버렸으니 그걸 대체하는 걸로 LTE에그라는 녀석을 만들었고 동글형태부터 얇은 녀석까지 많은 녀석들이 나왔다. 이 LTE에그의 특징은 속도가 10Mbps 로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11GB에 1만원이 넘는다. 그리고 국내에서 KT를 통해서 정식 발매된 에그의 경우는 IMEI가 모두 등록되어 있어서 KT 유심을 꽂으면 무조건 통신속도 제한이 걸린다. 그러면서 데이터 쉐어링 유심을 꽂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기계들을 SKT나 U+ 유심을 꽂으면 그런 제약이 싹 사라진다. SKT나 U+에서 발매된 에그 기기들에 KT유심을 꽂는 경우는 모르겠다. 암튼 KT는 LTE에그에 많은 제약을 걸어놨다.

 

KT플라자(전화국)에 가는 걸 추천한다. 이게 어찌보면 번거롭지만서도 한편으론 한방에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기도 하다. 일반 대리점의 경우는 그래도 대부분 데이터 쉐어링을 아는데 노트북을 들고가면 좀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노련한 직원이 있는 곳은 잘 처리되기도 하지만 그게 잘 안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전화국 기반의 KT플라자에 가면 그냥 다 잘 처리된다. 실제로 내가 쓰는 씽크패드 X1C 의 경우도 그렇고 씽크패드들의 다양한 모델들이 직접 유심을 꽂을 수 있는데 (그 맞에 난 씽크패드를 쓴다.) 타 통신사들의 경우 대리점 잘못찾았다가 아주 고생한다는 글을 종종 보게 된다. 

 

IMEI 등록이 없어도 된다. 한국은 IMEI 화이트리스트 국가라서 원칙적으로는 IMEI가 등록이 되어야 통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KT의 경우는 3G통신과, OPMD2 같은 유심이동이 가능한 유심을 꽂은 기기들은 IMEI가 없어도 통신이 된다. 실제로 가장 최근에 구매한 화웨이 E5885의 경우도 정식으로 유심을 받기 전에 먼저 발급받았던 데이터쉐어링 유심을 꽂아보니 너무나 잘 작동하는게 확인되었다. 

 

결론

나는 데이터온 비디오 요금제를 쓴다. 한달에 100GB 이다. 데이터 쉐어링 유심 두 개나 뽑아서 쓰지만 그래도 한달에 30GB를 못쓴다. 고용량의 데이터 요금제를 쓰는 분들은 어떻게든 쓸만한 방법을 만들어서 써보시는게 좋을 거 같다. 생각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