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Life

파이널컷으로 인코딩했는데 어두울 경우(feat. 고프로11)

by 고니-gonnie 2024. 9. 13.
반응형

파이널컷 프로

돈주고 샀다. 영구라이센스여서 그냥 샀다. 학생플랜으로 프리미어프로도 있긴 한데 그 어디어서도 빠릿함을 잃지 않았던 M1 애플 실리콘을 좀 멍청하게 만드는 거 같아서 손이 잘 안간다. 

파이널컷 프로에는 생각보다 진짜 이것저것 할 수 있는게 많다. 프리미어프로랑 비슷한 면도 있기도 하고..

오늘 사건의 발단은 고프로 11을 하나 영입했는데 인코딩을 했는데 화면이 어둡게 나오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내 인코딩 설정의 실수였고 어떻게 해결하게 되었는지 확인해보겠다.

문제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Ggx2ygDcB4

이게 그 문제의 결과물이다. 일단 빠르게 확인하느라 짧게 올리긴 했는데 암막 같은 것이 설정된 것처럼 보인다. 고프로는 SDR 영상을 촬영한다. 그런데 내가 인코딩을 HDR 로 해버리니 색공간이 안맞아서 저랬던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HDR과 SDR이 뭔지 알고 가야하는데... 쉽게 말해서 색을 표현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자료의 출처는 https://www.youtube.com/watch?v=d97JMF_K-sk&t=192s 여기이다. HDR이 SDR 로 될 수는 있으나 SDR은 뻥튀기 해서 HDR 이 될 수 없다. 애시당초 SDR 이상의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저 경계선들을 기준으로 표현하는데 정보가 100 밖에 없는 영상을 150의 영역으로 인코딩을 돌려버리니 화면이 어둡게 나온 것이다. 그리고 고프로11 의 경우는 설정을 통해서 10비트, 8비트 촬영을 지정할 수 있는데 보통 10비트로 찍는 거 같다. 근데 인코딩을 돌릴 때 8비트 인코딩으로 돌려버리면 역시나 약간 물빠진 거 같은 영상이 나온다. 

반대의 경우

아이폰의 경우 HDR 촬영이 기본이 되어 있다. 그런데 파이널컷 프로의 프로젝트 설정이 SDR(Rec. 709)인 상황이라면 프리뷰 화면이 미친듯이 환하게 보일 것이다. 작업영역의 정보는 100인데 영상은 150의 정보를 갖고 있으니 표현이 안되는 것이다. 이럴 때는 두가지 해결방법이 있는데

프로젝트 설정을 HDR 로

프로젝트를 만들고 프로젝트를 선택한 다음 우측에 보면 정보표시버튼을 눌러보면 Rec. 709 라는 것이 보일 것이다. 이걸 옆에 파란색 수정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제일 아래 Rec. 2020 HLG 를 선택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HDR 툴 사용하기

또 다른 방법은 HDR 툴을 사용하는 것이다.

오른쪽 아래에 잘 보면 이렇게 생긴 창이 보이는데 여기서 HDR 도구를 선택하고 드래그해서 영상의 타임라인이나 미디어 위에 올려주면 문제가 해결된다.

영상은 재밌다. 그런데 어렵다.

요즘 정말 마음만 먹으면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고 배포하는게 어렵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결국은 컨텐츠 싸움이긴 한데 그 와중에 기술적인 문제가 전문가가 아니면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연관되어 있는 것이 많아서 원인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 근데 갈수록 개인의 컨텐츠 시대가 될 것이기에 영상제작 툴을 다루는 법은 배워놔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결과물

https://www.youtube.com/watch?v=vmeTgPwTG94

처음에 저 위에 있는 문제의 영상과 확실히 달라졌다.

반응형